웹 표준
웹 표준(Web Standards) 이란 웹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와 기술들의 표준을 의미합니다.
해당 표준은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에서 정의하고 있으며, 이를 준수하여 웹 사이트를 개발하는 것을 웹 표준 준수라고 합니다.
표준 기술을 이용하여 운영체제, 브라우저 등 어느 한쪽으로 종속되지 않고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웹 사이트를 개발하는 것을 웹 호환성(Cross Browsing) 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웹 사이트 사용 시 운영체제 및 브라우저간 동일한 결과가 나오도록 하는 웹 상호운용성의 개념에 웹 표준의 준수를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웹 표준 준수의 장점
웹 호환성 확보
웹 표준을 준수하면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일관되게 웹 사이트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검색 엔진 최적화(SEO)
웹 표준을 준수하면 검색 엔진에 웹페이지를 더 잘 표시할 수 있습니다.
홍보 비용을 많이 들이지 않고도 검색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됩니다.
웹 표준을 준수하려면?
웹 표준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Semantic 태그를 잘 사용해야 합니다. Semantic 태그는 웹 페이지의 구조와 의미를 명확하게 표현하는 태그이며 HTML5에서 새롭게 추가된 태그입니다.
Semantic 태그의 종류로는 <header>
, <nav>
, <main>
, <section>
, <article>
, <aside>
, <footer>
, <hgroup>
, <p>
등이 있습니다.
웹 접근성
웹 접근성이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포함하여 모든 사람들이 웹 사이트에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시각장애나 청각장애 등의 장애를 가진 분들도 제약 없이 웹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말합니다.
웹 접근성을 위해 사용되는 보조기기
웹 접근성을 위해 사용되는 보조기기로는 스크린 리더, 화면 확대/축소, 색상 대비, 자동 완성 기능, 자막, 마우스 스틱 등이 있습니다.
웹 접근성을 준수하려면?
시각적 요소 처리
시각적 요소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이미지에 대한 대체 텍스트를 사용하고, 적절한 색상 대비, 텍스트 크기를 고려한 레이아웃 구성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청각적 요소 처리
청각적 요소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오디오 및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자막, 텍스트 설명, 음성 해설 등을 제공해야 합니다.
키보드 접근성
키보드 접근성을 위해서는 키보드 포커스 순서를 올바르게 설정하고, 키보드 접근성을 위한 키보드 단축키를 제공해야 합니다.
웹 접근성 검사
웹 사이트 구축 시 WCAG(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준수 여부를 검사하여 접근성 확보가 가능합니다.
웹 표준과 웹 접근성의 차이
웹 표준과 웹 접근성은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웹 표준은 웹 사이트의 기술적인 요소를 정의하고 표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웹 접근성은 모든 사람들이 웹 사이트에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그래서 웹 표준을 준수한다고 하더라고 웹 접근성과 호환성이 보장되는 것이 아니고, 웹 호환성을 준수한다고 하더라도 웹 접근성이 보완되는 것은 아닐 수 있습니다.
웹 표준은 일관성 있는 웹 개발 환경을 제공하고, 웹 접근성은 모든 사용자들이 웹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따라서 웹 사이트를 개발할 때는 웹 표준과 웹 접근성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